성형후 뭉침은 섬유화 증상이며 흉살, 구축으로 불리고, 잔붓기로 오해받기도 합니다.
성형후 붓기는 2개월 동안 80%가 줄어듭니다.
수술후 평균 3주차부터 섬유화가 발생하기 시작하며, 개인에 따라 섬유화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섬유화는 수술후 수년이 지나서 피부가 민감해질때 악화되어 발생하기도 합니다.
섬유화는 두툼하고 울퉁불퉁한 피부, 부자연스러운 표정을 일으킵니다.
또 수술후 손상된 말초신경의 재생을 방해합니다.
섬유화(뭉침, 흉살)에 대한 ‘논문 인용’
섬유화 의학자료
▶관련 내용
“Fibrosis is the formation of excess fibrous connective tissue in an organ or tissue in a reparative or reactive process.”
■ 섬유화는 장기나 피부조직의 회복과정에서 섬유결합조직이 과도하게 형성되는 것입니다.
“which can interfere with or totally inhibit the normal architecture and function of the underlying organ or tissue.”
■ 섬유화는 인체 조직의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방해하거나 완전히 억제할 수 있습니다.
(임상에서 피부의 섬유화는 피부의 두툼하거나 울퉁불퉁한 모양, 표정의 부자연스러움을 일으키고,
말초신경 재생을 막는 구조물로 작용합니다.)
“However, the entire process, although necessary, can lead to a progressive irreversible fibrotic response
if tissue injury is severe or repetitive, or if the wound healing response itself becomes deregulated.”
■ 그러나 조직의 손상이 심하거나, 반복적 손상이거나, 상처치유가 멈췄거나 하면 피부의 섬유화는 치료가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섬유화가 발생한 피부조직에 흡입, 수술, 자극적인 주사나 시술을 반복하거나, 완전히 굳은 상태의 섬유화가 되면 치료가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Fibrosis can occur in many tissues within the body, typically as a result of inflammation or damage”
■ 섬유화는 일반적으로 염증이나 손상의 결과로 신체 내의 많은 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체조직의 손상에는 외부충격이나 수술로 인한 손상이 있습니다.)
▶관련 내용
“Fibrinous inflammation :
Inflammation resulting in a large increase in vascular permeability allows fibrin to pass through the blood vessels.
This is commonly seen in serous cavities, where the conversion of fibrinous exudate into a scar can occur between serous membranes,
limiting their function. The deposit sometimes forms a pseudomembrane sheet.”
■ 섬유화성 염증 :
혈관 투과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손상이나 염증은 섬유소가 혈관을 통과하게 합니다. 이것은 피부막층에서 흔히 볼수 있는데, 피부막층 사이에서
섬유성 진물이 흉터같은 섬유화 조직으로 변해서 기능을 억제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쌓여진 섬유소는 막과 같은 형태가 됩니다.
임상에서는 수술후 회복이 느리거나 염증반응이 길어질수록 섬유화(뭉침, 흉살)의 형성이 많아지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후 회복치료, 빠른 염증치료가 추가적인 섬유화 생성을 감소시켜줍니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수술이나 자극적인 치료는 추가적인 섬유화를 일으킬 수 있어 치료를 어렵게 합니다. 섬유화는 자극이 거의 없는 방법으로 치료해야합니다.
Surgical Anatomy of the Face 서적(Larrabee / Makielski / Henderson)
▶관련 내용
“In the upper face, the vessels and the sensory nerves arise from their origins (bony foramina)
and penetrate the SMAS. Here they run within its superficial aspects or on its surface.“
■ 얼굴 상부에서는 혈관과 신경이 bony foramen을 뚫고 나와 SMAS를 관통하게 됩니다.
그 후 피부 각부위의 표면층으로 뻗어나갑니다.
(임상에서 SMAS층의 섬유화는 수술부위 유착이나 뭉침으로 관찰되며,
혈관과 신경이 목표지점까지 원활하게 재생되는 것을 방해하는 현상으로 자주 보입니다.)
성형 후 뭉침이 줄지않는 이유
-
피부묘기증
피부가 긁히면 붉게 부풀어 오르고
잘 가라앉지않는다. -
과증식성 흉터
상처가 난 부위에 흉터가 상처보다
크게 잘 생긴다. -
켈로이드 피부
상처가 난 뒤 상처범위를 넘어선
딱딱한 피부가 점점 번져간다.
피부조직이 손상될 수 있는 수술, 시술, 쁘띠성형
다양한 성형수술과 시술들, 쁘띠성형은 시술중에 피부조직의 손상을 발생시킵니다.
이런 수술후 민감한 피부, 켈로이드성 피부인 경우는 두툼하거나 울퉁불퉁한 뭉침이 발생하는 확률이 높습니다.
회복과정 중 과잉염증, 만성염증이 나타나 섬유세포가 많이 쌓여서 입니다.
- 안면윤곽
- 양악수술
- 지방이식
- 지방흡입
- 안면거상
- 스컬트라
- 아큐스컬프
- 실리프팅
- 필러
- 눈성형
- 코성형
- 가슴성형
붓기와 뭉침의 구분
액체인 붓기(=부종)는 아침저녁의 크기 변화가 뚜렷하고, 뭉침(섬유화, 석회화)는 크기 변화가 별로 없습니다.
뭉침은 스펀지처럼 말랑하거나, 반죽처럼 좀더 단단하기도 하며, 얼굴라인을 두툼하게 보이게 하며, 울퉁불퉁하기도 합니다.
자미안의 탕약과 침, 약침치료 그리고 환단제의 사용을 통해 이런
뭉침 (섬유화, 석회화)를 치료받게 됩니다.
수술후 3개월~2년이 지나도 덜 갸름해진 얼굴, 울퉁불퉁한 얼굴라인이
갸름해지고 작아져 자연스럽게 회복되게 됩니다.
초기에 뭉침이 말랑할 때부터 치료하면, 치료속도가 빠르고 결과가 더 좋습니다.
그래서 수술후 두툼한 라인이나 울퉁불퉁한 뭉침이 보이면 바로 진찰받아야 합니다.
뭉침이 주로 발생하는 부위는 이마, 눈밑, 광대, 앞볼, 턱라인, 앞턱,
그리고 가슴과 복부입니다.
스테로이드 주사 2~3회 시술후, 효과가 없는데 무리하게 지속하면,
오히려 주변의 말랑한 정상 피부조직이 압축되고 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방분해주사는 액체상태의 오일과 같은 지방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단단한 고체인 섬유화성 뭉침을 분해와 감소시키지 못합니다.
이렇게 성형 후 뭉침은 단 몇번의 시술이나 치료로 사라지기 어렵습니다.
뭉침 소멸
성형 후 뭉침은 피부안정화를 통한 섬유화 생성 억제와
뭉친 섬유화를 분해 배출하는 방법이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단단하고 울퉁불퉁한 뭉침, 두툼하고 뻣뻣한 피부조직을 부드럽고 말랑한
정상피부층으로 자연스럽게 회복시킵니다
자미탕 작용
약침 침 작용
치료방법 : 자미안 프로그램
-
STEP 1 자미안탕약
자미안 탕약은 몸속 순환은 증진시키고, 노폐물 배출은 촉진합니다.
성형후 어혈과 노폐물로 구성된 붓기를 빠르게 제거하고,
침전물, 섬유화, 석회화와 같은 뭉침을 분해 배출시킵니다.
피부를 안정시켜 염증을 치료하고, 손상된 신경과 피부의 재생을 돕습니다. -
STEP 2 자미안 침,약침
자미안 침은 환부의 뭉침과 붓기를 더 집중적으로 치료하며,
늘어진 피부를 건강한 상태로 탄력있게 회복시킵니다.
자미안 침은 자미안 탕약의 약효가 환부에 더 잘 도달하도록 자극하고 효력을 증가시킵니다.
작은 혈관과 신경을 재생시키고, 울퉁불퉁하거나 늘어진 부위를 매끄럽게 회복시킵니다.
자미안 침은 많은 치료사례를 통해 개선되어가며, 본원의 대표치료법이 된 프로그램입니다. -
STEP 3 고주파
고주파관리는 피부의 온도(염증, 뭉침)에 따라, 따뜻하게 또는 차갑게 관리합니다.
치료사례
자미안의 특별함
피부속 뭉침 (섬유화, 석회화, 육아종)
사라지게 할 수 있습니다.
성형 후에도 붓기와 뭉침으로 두툼하거나 울퉁불퉁하세요?
손상된 피부층의 뭉침(섬유화, 석회화, 육아종)이 원인입니다.
이는 손상후 회복중에 흉살처럼 섬유세포가 밀집되어 재생된 것으로,
수술후에도 두툼하게 만들거나, 울퉁불퉁한 피부표면을 만듭니다.
자미안 탕약과 침, 약침 치료를 통해 자연스럽게 회복됩니다.
우측의 사진의 환자는, 성형후 턱라인의 두툼한 뭉침(섬유화)이 발생해
턱라인의 피부층 두께가 10mm이었습니다.(치료전 사진)
치료후, 섬유화가 분해배출되어 5mm로 피부층이 얇아졌고,
얼굴 좌우의 폭도 10mm가 감소해 갸름하고 자연스럽게 회복되었습니다.
뭉침으로 인해 두툼하고 울퉁불퉁한 얼굴은 자미안에서 치료하세요.
얼얼한 감각, 어색한 표정, 비대칭 표정
치료할 수 있습니다.
성형수술 후 발생한 말초신경손상은 1일 1mm씩 재생됩니다.
그러나 수술후 순환장애 · 뭉침 ·염증은 신경재생을 방해하고,
감각마비와 표정마비가 남게 됩니다.
수술후 감각과 표정의 회복이 2주일이상 정체된다면,
신경재생 방해의 원인을 해결하고, 신경재생 촉진치료를 받아야합니다.
감각마비는 6개월이 지나도 치료될 가능성이 어느정도 있지만,
표정마비는 발생후 6개월이 지나면 운동신경재생이 어려워집니다.
치료전 사진은 성형수술후 피부층의 10mm의 두터운 섬유화로 인해,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이 재생되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자미안 탕약과 침, 약침 치료후 환부의 섬유화가 사라지고,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이 재생되어 치료된 사진입니다.
자미안한의원은 자연스러운 얼굴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합니다.
끊임없이 연구하는 자미안
사람의 얼굴에 나타난 붓기, 뭉침, 마비, 염증, 홍조 등 다양한 증상은,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심각한 스트레스를 주게 됩니다.
얼굴의 증상으로 인해 고통을 받다가
심한 경우 불면증, 대인기피, 공황장애, 분노조절장애를 겪기도 합니다.
얼굴은 많은 혈관과 안면신경, 림프관, 표정근육이 분포하여
섬세하고 정확한 치료로 섬세하게 돌봐야 합니다.
[피부 상태], [안면신경 상태], [턱관절 교합], [표정근 대칭], [림프부종 여부]
이 모든 것을 진찰하고 원인을 찾아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성형 후 관리부터 다양한 성형수술 후유증까지
풍부한 치료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풍부한 치료경험
성형수술 후 붓기와 볼처짐을 관리하는 일반적인 케이스 외에,
표정마비, 감각마비, 뭉침을 자각하고 치료를 받은 분들도 많습니다.
석회화와 염증과 통증을 자미안의 탕약과 침으로 치료하였습니다.
성형 후 부자연스러운 얼굴을 자연스럽고 아름답게 회복시켜,
한층 더 나은 모습을 찾아드리고 있습니다.
자미안한의원은 충분한 시술경험과 한약 처방경험으로 치료의 안정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연구와 세미나에 참석하고 있습니다.
자연미인 만들기라는 목표로
건강미인을 위한 클리닉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건강한 자연미인 만들기
자연스럽고 예쁜 얼굴형, 탄력이 있고 맑은 피부를 위해
리프팅, 얼굴홍조, 좁쌀여드름, 안면마비, 모공축소를 위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습니다.